티스토리 뷰
겨울철 따뜻하게 사용한 전기장판, 제대로 청소하지 않으면 세균 번식과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물세척이 불가능한 제품은 올바른 방법으로 관리해야 더욱 오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기장판을 안전하게 청소하는 기본 방법부터 실전 꿀팁, 주의해야 할 사항까지 알아보겠습니다.
겨울철 난방기구 정리하는 법
전기장판, 청소 안 하면 세균과 곰팡이가 쌓일 수도 있습니다.
겨울 내내 따뜻하게 사용한 전기장판, 그냥 접어서 보관하면 다음 해에도 깨끗하게 사용할 수 있을까요? 많은 분들이 전기장판을 단순히 털어내거나 접어서 보관하는데, 올바르게 청소하지 않으면 먼지와 세균이 쌓이고, 심하면 곰팡이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전기장판 청소가 중요한 이유
오랜 기간 사용하면서 피부 각질, 먼지, 땀 등이 장판에 쌓일 수 있습니다.
습기가 차면 곰팡이와 세균이 번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올바르게 청소하지 않으면 장판 내부 전선이 손상되어 화재 위험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기장판은 단순히 표면만 닦는 것이 아니라, 올바른 청소법을 통해 안전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전기장판을 더욱 깨끗하고 오래 사용할 수 있는 청소법은 무엇일까요? 지금부터 전기장판을 안전하게 청소하는 기본 방법과 실전 노하우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전기장판 안전하게 청소하는 기본 방법: 주요 제품별 맞춤 청소법
전기장판은 브랜드와 제품별로 청소 방법이 다를 수 있습니다. 특히 방수 기능이 있는 제품과 없는 제품, 세탁 가능한 제품과 불가능한 제품이 다르므로, 자신이 사용하는 제품에 맞는 올바른 방법으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서 일월, 한일, 보국, 경동, 웰포트 등 주요 브랜드 제품별 청소 방법을 정리했습니다.
방수 기능이 없는 전기장판: 표면 세척만 가능한 제품 (일반 전기장판, 보국, 경동 등)
전기장판 표면 닦는 방법
보국, 경동, 한일 등의 일반 전기장판은 내부에 열선이 포함되어 있어 물세척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젖은 천을 사용해 표면을 닦고, 물기가 남지 않도록 관리해야 합니다.
세척 순서
1. 전원을 차단하고 플러그를 뽑습니다.
전원을 연결한 상태에서 청소하면 감전 위험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플러그를 뽑아야 합니다.
2. 중성세제를 푼 물을 활용합니다.
미지근한 물 500ml에 중성세제 1큰술을 희석하여 부드러운 천에 적십니다.
세제가 너무 많으면 표면이 끈적거릴 수 있으므로 적당한 양을 사용해야 합니다.
3. 부드러운 천으로 닦기
천을 가볍게 짜서 전기장판 표면을 닦아줍니다.
특히 손이 많이 닿았던 부분이나 얼룩이 생긴 부분을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4. 마른 수건으로 물기 제거 후 자연 건조
물기 없이 마른 수건으로 한 번 더 닦아주고, 통풍이 잘 되는 곳에서 자연 건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보국, 한일 전기장판의 특징
보국, 한일 전기장판은 일반 방수 처리가 되어 있지 않은 제품이 많아 표면 세척만 가능합니다.
세탁이 불가능한 제품은 물에 적시지 않고 닦는 것이 중요합니다.
방수 기능이 있는 전기장판 : 세척 가능한 제품 (일월, 웰포트 등)
세탁 가능한 전기장판의 경우
일월, 웰포트 전기장판 중 일부 제품은 방수 기능이 있어 표면 세척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세탁기 사용은 절대 금물! 손세탁 방식으로 관리해야 합니다.
세척 순서
1. 전원을 완전히 차단한 후 플러그를 제거합니다.
2. 따뜻한 물에 부드러운 스펀지를 적셔 닦아줍니다.
3. 비누나 중성세제를 살짝 묻혀 오염된 부분을 문질러 닦습니다.
4. 물로 헹군 후, 깨끗한 마른 수건으로 닦아줍니다.
5. 완전히 건조된 후 사용해야 합니다.
일월, 웰포트 제품의 특징
일부 제품은 방수 기능이 있어 가볍게 물로 세척할 수 있지만, 제품 설명서를 반드시 확인한 후 세척해야 합니다.
내부에 전선이 있는 경우 너무 많은 물을 사용하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전기장판의 컨트롤러(보일러) 청소 방법
전기장판의 컨트롤러(온도 조절기)는 물이 닿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전기코드를 연결한 상태에서 청소하면 감전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전원을 차단해야 합니다.
컨트롤러 청소 순서
1. 마른 천으로 표면을 닦아줍니다.
2. 면봉을 사용해 틈새에 낀 먼지를 제거합니다.
3. 알코올을 묻힌 천으로 소독하면 더욱 위생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경동, 한일 제품의 특징
컨트롤러가 분리 가능한 제품이 많아, 청소 후 따로 보관하면 더욱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전기장판의 냄새 제거 & 보관 전 관리법
굵은소금을 활용한 소독법
굵은소금을 전기장판 위에 뿌린 후, 부드러운 천으로 문질러 닦으면 살균 효과가 있습니다.
특히 피부 각질, 땀, 먼지 제거에 효과적이며, 냄새 제거에도 좋습니다.
소금을 닦아낸 후 낮은 온도로 10~20분 정도 가열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보관 전 예열하기
장기간 보관 전, 가장 낮은 온도로 10~15분 정도 예열하면 내부 습기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보관 중 곰팡이가 생기는 것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완전 건조 후 보관하기
청소 후에는 반드시 그늘진 곳에서 완전히 건조한 후 보관해야 합니다.
전기장판은 습기에 약하므로 건조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보관 중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전기장판 완벽하게 청소하는 실전 노하우
전기장판은 겨울철 내내 피부에 직접 닿으며 사용되기 때문에, 먼지와 땀, 각질 등이 쌓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보관 시에는 곰팡이와 세균 번식 위험이 있어 철저한 청소와 올바른 보관이 필수적입니다. 다음은 전기장판을 완벽하게 청소하는 실전 노하우를 자세히 정리해 보았습니다.
굵은소금 & 베이킹소다 활용한 살균 청소법
전기장판은 열선을 포함하고 있어 일반적인 물세척이 어렵습니다. 이때 굵은 소금과 베이킹소다를 활용하면 표면을 효과적으로 살균하고, 냄새 제거도 가능합니다.
굵은소금 활용법
1. 전기장판이 꺼진 상태에서 굵은소금을 표면에 골고루 뿌립니다.
2. 부드러운 천이나 마른행주를 사용해 소금을 문질러 닦아줍니다.
3. 소금이 전기장판 표면의 미세한 먼지와 습기를 흡수하면서 살균 효과를 냅니다.
4. 남은 소금은 진공청소기나 마른걸레로 완전히 제거합니다.
베이킹소다 활용법
베이킹소다는 냄새 제거와 살균 효과가 뛰어나므로, 장기간 사용한 전기장판의 세척에 효과적입니다.
1. 미지근한 물 500ml에 베이킹소다 1큰술을 녹여 세정액을 만듭니다.
2. 부드러운 천을 적신 후 꼭 짜서 전기장판 표면을 부드럽게 닦아줍니다.
3. 물기가 남지 않도록 마른 수건으로 한 번 더 닦아 마무리합니다.
TIP
굵은 소금과 베이킹소다는 자연 살균제 역할을 하므로, 전기장판 세척 후 남은 냄새 제거에도 효과적입니다.
이 방법은 방수 기능이 없는 전기장판에도 사용할 수 있어 안전합니다.
전기장판 표면 오염 제거 꿀팁: 얼룩 & 찌든 때 없애는 방법
일반적인 먼지 & 얼룩 제거 방법
물과 중성세제를 1:1 비율로 섞은 후 부드러운 천에 적셔 가볍게 닦아줍니다.
너무 세게 문지르면 표면 코팅이 벗겨질 수 있으니 부드럽게 닦는 것이 중요합니다.
닦은 후에는 물기가 남지 않도록 마른 수건으로 한 번 더 정리합니다.
찌든 때가 있는 경우 – 레몬즙 & 식초 활용하기
오래된 얼룩이 있거나 땀이 배어 찌든 때가 남았을 경우, 레몬즙과 식초를 활용하면 효과적입니다.
1. 물 500ml에 식초 1큰술과 레몬즙 1큰술을 섞어 세정액을 만듭니다.
2. 부드러운 천을 적셔 표면을 닦아주면 찌든 때와 냄새 제거에 효과적입니다.
주의할 점
식초 사용 시에는 너무 많이 사용하지 않아야 합니다.
사용 후에는 반드시 마른 수건으로 닦아내야 잔여물이 남지 않습니다.
전기장판 보관 전 습기 제거 & 냄새 관리 방법
보관 전 예열하여 습기 제거하기
장기간 보관 전에 전기장판을 가장 낮은 온도로 10~15분 정도 예열하면 내부 습기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보관 중 곰팡이와 세균 번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보관 중 냄새가 나는 경우: 커피 찌꺼기 활용하기
보관 중 냄새가 날 수 있으므로, 커피 찌꺼기를 전기장판과 함께 보관하면 습기 제거와 냄새 제거에 효과적입니다.
신발장이나 옷장 속 탈취제로도 사용되는 커피 찌꺼기는 습기와 냄새를 동시에 잡아줍니다.
TIP
전기장판을 보관할 때 페브리즈 같은 화학 탈취제보다는 천연 재료(커피 찌꺼기, 베이킹소다 등)를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완벽한 건조 & 올바른 보관법: 전기장판 수명 늘리는 방법
전기장판을 오래 사용하려면 청소 후 완벽한 건조와 올바른 보관이 필수입니다.
건조 시 주의할 점
물 세척이 가능한 제품이라도 자연 건조를 충분히 해야 내부 습기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통풍이 잘되는 곳에서 2~3시간 이상 자연 건조한 후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전기장판 보관법
1. 전기장판을 말아서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전선이 꺾이지 않도록 너무 세게 접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전용 보관 가방에 넣어 보관하면 더욱 안전합니다.
전기장판 전용 보관 가방이 없을 경우 부직포 가방을 활용하면 습기를 막을 수 있습니다.
3. 서늘하고 건조한 장소에 보관합니다.
장판을 보관할 때 직사광선과 습기가 많은 곳은 피해야 합니다.
주의할 점
전기장판을 세게 접어서 보관하면 내부 열선이 손상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전선이 꺾이지 않도록 둥글게 말아서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전기장판 청소 시 주의해야 할 점
전기장판을 청소할 때 다음 사항을 꼭 주의해야 합니다.
잘못된 방법으로 청소하면 제품 수명이 짧아지고, 화재 위험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절대 세탁기에 넣지 마세요!
전기장판 내부에는 열선을 포함한 전기회로가 있기 때문에, 세탁기에 넣어 세탁하면 고장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젖은 상태에서 전원 연결 금지!
청소 후 건조가 완전히 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을 연결하면 감전 위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반드시 완전히 건조된 후 사용해야 합니다.
전기코드가 꺾이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전기장판을 보관할 때 전기코드가 접히거나 꺾이지 않도록 둥글게 말아서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관 장소는 통풍이 잘 되는 곳으로 선택하세요.
전기장판을 보관할 때 습기가 많은 곳은 피해야 합니다. 전용 보관 가방에 넣어서 서늘하고 건조한 장소에 보관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올바른 전기장판 청소 & 보관법으로 내년에도 따뜻하게 사용하세요.
겨울 내내 따뜻하게 사용했던 전기장판, 이제는 깨끗하게 청소해서 보관할 시간이에요~ 그냥 대충 접어서 넣어두면 세균이랑 곰팡이가 생길 수 있으니 꼭 청소해 주세요.
가장 중요한 건 제품에 맞는 청소법이에요. 방수 기능이 없는 제품은 물 세척 절대 안 돼요! 대신 소금이나 베이킹소다로 살균하고, 젖은 천으로 표면만 살살 닦아주세요. 컨트롤러는 절대 물에 닿지 않게 조심하시고요!
청소 후에는 완벽하게 건조하는 게 핵심이에요. 습기가 남으면 곰팡이가 생길 수 있으니까요. 보관할 때는 전선 꺾이지 않게 동그랗게 말아서, 통풍 잘 되는 곳에 보관해 주세요. 전용 가방이나 부직포에 넣어두면 더 좋답니다. 이렇게만 관리하시면 다음 겨울에도 새것처럼 포근하게 사용하실 수 있을 거예요.
'living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샤오미 미지아 3세대 가습기 (CJSJSQ03LX) 청소하는 법 (0) | 2025.02.21 |
---|---|
환절기 피부 보습 & 각질 관리 하는 법 (0) | 2025.02.19 |
겨울옷 빨래 소재별 관리법, 제대로 알고 하자! (0) | 2025.02.18 |
병풀(시카) & 판테놀 성분을 활용한 진정 루틴 만드는 법 (1) | 2025.02.17 |
미세먼지 & 황사 저자극 클렌징 오일 & 폼클렌저 조합 추천 (0) | 2025.02.16 |